Lifelog/반성노트 3

나는 어떤 리더가 되어야 하는가?

✅ 1. 비전형 리더십 (Visionary Leadership)**왜 이 방향으로 가야 하는가?**에 대해 팀이 납득할 수 있도록 명확한 기술 비전 제시단기 로드맵과 장기 전략을 유기적으로 연결✅ 2. 기술-비즈니스 통합 리더십기술을 비즈니스 성장의 도구로 명확히 인식ROI, TCO, TAM과 같은 비즈니스 메트릭에 민감단순히 “좋은 기술”보다 “시장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는 기술”을 우선시✅ 3. 플랫폼 사고와 제품 사고“Platform은 곧 Product”라는 인식 아래, Platform as a Product로 조직 설계사용자 경험, API 디자인, DevEx(개발자 경험)를 중요시예: “우리는 쿠버네티스를 제공하는 게 아니라, 개발자에게 민첩한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.”✅ 4. 조직 리더십 & 영향력..

계획과 실천

바쁘다는 핑계는 오히려 사람을 느쓴하게 만드는 경향이 있다. 요즘 업무로 너무나 바빠다고 느끼는데, 그리고 나면 오히려 다른 해야 할 일들을 안하는 경우가 많아 진다. 그런데 다시 돌이켜 보면 정말 바쁜 것인지 스스로 바빠 진 것인지 분간이 가지 않는다. 내 스스로 바쁘다는 핑계를 대면서 많은 일들을 하지 않고 있지는 않는가? 계획적인 삶을 살아야 한다. 그러면 오히려 시간이 남을 것이다.

넓은 세상을 보여주자

인생은 한번 계획과 준비는 필수. 견문을 넓혀라. 우물 안 개구리를 말이 있다. 내가 보고 있는 세상이 얼마만큼 큰지를 모르며 지금 보고 있는 것이 세상의 전부인지 착각한다. ㅇ 내가 알 던 세상이 이와 비슷하다. ㅇ 좁은 울타리 안에서 바깥 세상이 어떻게 생겼는지 몰랐다. 세상은 아는 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살아간다. 내 아들에게는 좀 더 넓은 세상이 존재하며 내가 느껴보지 못한 삶이 있음을 꼭 보여줘야 겠다. 그 누구보다 더 큰 꿈을 꿀 수 있게...

728x90